Main Menu
컴퓨터 활용, 최적화/컴퓨터 정비, 하드웨어 팁 :: 86
3년차 외장하드, WD MyBook 2019년 초에 구입한 WD MyBook 8테라 외장하드는 그동안 특별한 문제 없이 데이터 백업 및 대용량 파일 저장용으로 잘 사용했습니다. 저는 씨게이트 백업플러스 허브 6테라 제품을 먼저 구입했고, WD MyBook 8테라는 1년쯤 뒤에 구입해 2중 백업 방식으로 사용 중인데, 씨게이트 6테라 제품은 데이터를 옮길 때만 전원을 연결하는터라 실제 사용시간은 WD MyBook 8테라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블로그 데이터 백업 외에 PC를 포맷/윈도우 재설치 작업을 진행할 때 PC 데이터를 백업 후 다시 옮기는 용도로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했는데, 8테라의 저장 공간도 2년 남짓 사용하면서 매우 협소해졌네요. 2019.02.13 - WD My Book 8테라 외장하드 사용..
노트북과 블루투스 스피커, 끊김 증상 최근 노트북과 블루투스 스피커/이어폰을 연결해 스트리밍 음악 듣는 시간이 부쩍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대신 PC로 스트리밍 음악을 켜 놓으니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횟수도 좀 줄어드는데다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도 줄어 실내에서는 PC를 이용해 BGM을 틀어놓곤 합니다. 그렇게 노트북과 블루투스 스피커를 연결해 듣다보니, 가끔 소리가 끊기는 증상을 겪곤 합니다. 소리가 잠깐 끊겼다가 다시 들리는 증상은 자주 발생한 것이 아니라 딱히 신경쓰지 않았는데, 며칠 전 부터는 끊김 증상이 좀 잦아지더니 심할 때는 10분~15분 남짓한 간격으로 끊겼고 한 번 증상을 인지하고 보니 점점 신경쓰여 좀 더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인텔 블루투스 드라이버, 버전 확인 현재 노트북의 블루투스가 ..
인텔 NUC, 인터넷 바이오스 업데이트? 구입 초기, SSD와 메모리, 운영체제 설치를 위해 잠시 가지고 있었던 인텔 NUC5i7RYH를 4~5년 만에 다시 가져와 운영체제를 재설치하고 CPU 쿨러의 먼지제거와 써멀구리스 재도포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그렇게 모든 작업을 끝내고 지인에게 다시 보내기 전, 문득 이 NUC의 바이오스 업데이트 작업을 해야겠다 싶었습니다. 단순히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뭔가 특별한 기능이 추가되기를 기대한 것은 아니었고, 어차피 다시 보내면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전혀 기대할 수 없기에 제가 직접 해 주기로 했습니다. 아울러구입 직후 바이오스 업데이트 과정에서 인터넷 연결을 통한 바이오스 업데이트 메뉴가 있었고, 실제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에 지금은 어떨까 싶은 호기심도 있었..
2015년 10월, 인텔 NUC 지인이 사용할 이런저런 일체형 PC를 알아보다가 결국 인텔의 베어본PC, NUC5i7RYH를 사서 메모리와 SSD를 추가하고 운영체제를 설치해 보내준 지 어느덧 4년이 지나 5년차가 되어갑니다. 지인은 일반 사무용으로 사용할 PC를 알아보던 터라, 작으면서 꽤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는 NUC가 꽤 괜찮은 선택이었고 그동안 만족스럽게 사용해 왔습니다. 그렇게 수 년간 잘 사용하던 컴퓨터가 랜섬웨어에 감염되었고, 감염되지 않은 몇몇 문서 파일을 백업할 겸, 운영체제를 윈도우10으로 교체할 겸해서 저희 집에 다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윈도우7이 깔려 있던 NUC의 운영체제를 윈도우10으로 교체하고 테스트 및 업데이트를 위해 컴퓨터를 켜 두었는데, 팬 돌아가는 소리가 심상치..
10년 넘은 레이저 프린터 저는 종이에 프린트해서 자료를 보는 대신 PC나 스마트폰 화면으로 자료를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프린터 사용량도 매우 적은 편입니다. 그래도 한 번 프린트할 때는 수십~100여 장씩 프린트하다보니 후지제록스 Docuprint 203A라는 오래된 레이저 프린터를 한 대 가지고 있습니다. 곰곰히 따져보니 이 프린터는 2005~2006년쯤에 구입했으니 벌써 13~14년이 되어가네요. 고작해야 두어 달에 한 번 프린터를 사용하는터라, 윈도우를 재설치해도 프린터를 바로 연결하지는 않는데, 오늘이 바로 프린터 사용이 필요한 날이라 오랫만에 후지제록스 Docuprint 203A의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했습니다. 후지제록스 프린터 드라이버는 후지제록스 홈페이지의 [지원 및 다운로드] 페이지에..
AGESA 1.0.0.4 Patch B, 새로운 바이오스 평소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하지말라'는 얘기를 자주 해왔고, 실제 바이오스 업데이트 적용을 꽤 보수적으로 진행해 왔습니다. 과거 메인보드의 최신 바이오스를 메인보드 제조사의 각 나라별로 찾아다니며 베타버전까지 찾아내서 업데이트를 시키곤 했는데, 바이오스 업데이트 과정에서 뭔가 문제가 생겨 부팅 불능 상태가 되었고, 결국 메인보드를 떼어 용산의 서비스센터로 들고가야했던 경험을 두어번 쯤 한 뒤,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매우 신중하게 해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라이젠7 3700X CPU와 X570 메인보드로 새 컴퓨터를 조립한 뒤로 새로 나온 바이오스를 계속 적용해보고 있습니다. AMD에서 3세대 라이젠 CPU의 처리속도를 높이는 AG..
AMD 컴퓨터 조립 과정 얼마전 AMD 라이젠7 3700X 컴퓨터를 한 대 조립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라이젠7 3700X 컴퓨터용 부푸들의 선정 과정과 함께, 조립 완료된 컴퓨터와 기존 사용하던 씽크패드P50 노트북의 간단한 속도 비교를 해 봤습니다. 오늘은 AMD 라이젠7 3700X 컴퓨터의 조립 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사실 인텔, AMD를 막론하고 전체적인 PC 조립 과정은 거의 비슷하고 다만 CPU의 장착 방법과 CPU 쿨러 장착 방법에만 차이가 있습니다. PC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본 부품, CPU, 메인보드, 메모리, SSD, 그래픽 카드와 케이스, 파워 서플라이 등이 준비되었습니다. 케이스에 백패널과 스페이서 장착 메인보드 박스에서 비닐 포장된 메인보드를 꺼낸 뒤 메인보드..
윈도우 이미지 복구, 블루투스 장치 작동 불가 최근 윈도우에 여러가지 덩치 큰 프로그램을 설치/삭제를 반복하다보니 컴퓨터의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졌고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도 좀 더디게 작동하는 듯 싶어 윈도우를 재설치했습니다. 저는 노트북 제조사에서 제공한 윈도우 복구 USB를 갖고 있었지만, 이 USB의 경우 제조사에서 제공한 여러가지 프로그램들까지 함께 깔리면서 설치 시간이 오래걸리는데다, 제 작업 환경을 만드는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때문에 저는 예전에 윈도우 설치 후 드라이버와 기본 작업 환경을 만든 상태에서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 기능으로 C: 드라이브의 이미지를 만들어 두었고, 이 이미지를 이용해 복원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2019/03/01 - 윈도우10에서 윈도우7 이미지 백업, 시스..
화면이 안 켜지는 델 노트북 얼마 전 후배가 데스크톱 컴퓨터의 점검을 부탁하면서 노트북 컴퓨터도 같이 보내왔습니다. 전화로 들어본 노트북의 이상 증상은, 전원 버튼을 누르면 전원은 켜지는 것 같은데 화면에 아무것도 안뜬다는 것이었습니다. 노트북 컴퓨터에서 화면이 들어오지 않는 증상의 경우, 메인보드나 케이블 파손, 혹은 백라이트의 수명이 다한 경우입니다. 게다가 이 노트북은 이미 수리점에 두 번이나 들어갔다왔다고 하니, 굳이 이쪽으로 보내봐야 해결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지만 후배 녀석은 정말 포기해야 하는 상황인지, 판정이나 내려달라고 하는군요. 도착한 노트북은 델 Inspiron N5010으로, 연식은 꽤 오래되었지만 겉모양은 제법 멀끔한 상태였습니다. 아, 노트북 덮개를 열고보니 상판에 이런저런..
택배로 도착한 컴퓨터 본체 얼마 전 사무실에서 쓰던 컴퓨터가 고장나 택배로 보낼테니, 뭐가 문제인지 봐 달라는 후배의 연락이 왔습니다. 증상이 뭔지 물어보니 전원이 켜지지 않는다는 극히 일반적인 답변이 돌아왔는데, 택배로 컴퓨터 본체를 보낸다는 얘기에 택배는 파손의 위험이 있으니 직접 들고 오거나 근처 컴퓨터 수리점에 맡기는게 좋겠다고 충고했습니다. 하지만 이 녀석은 굳이 파손되지 않도록 뽁뽁이로 충분히 포장해 보내겠다며 고집을 꺾지 않았고, 저는 택배로 컴퓨터 본체를 보내면 컴퓨터 케이스가 찌그러져 도착한다거나 CPU 쿨러가 케이스 안에서 굴러다니는 경우를 종종 봤다는 경고(?)를 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며칠 뒤 공놀이를 해도 될 정도로 뽁뽁이를 감아 놓은 컴퓨터 본체가 도착했습니다. '컴퓨터 본체, ..
APC UPS 배터리, 7년만의 교체 얼마전 APC Back-UPS ES700KR UPS의 배터리를 교체했습니다. 매우 큼지막한 멀티탭처럼 생긴 UPS는 배터리 백업 콘센트 4개, 서지 차단 콘센트 4개가 장착되어 있어 가정용으로 매우 쓸만한 제품입니다. 이 UPS는 2012년 말에 구입했고 그동안 배터리 교체를 한 번도 하지 않은채 사용해 왔습니다. 사실 저희 집은 순간적인 정전도 1년에 한 두번 겪을까 말까하는 정도이고, 5분~10분씩 정전되는 경우는 더욱 흔치 않은 일이라 오랫동안 UPS의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고 지내왔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UPS를 테스트해보니 전원을 차단하자 마자 배터리 충전량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경고음이 시끄럽게 울리는터라, 7년만에 배터리를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APC B..
2012년 구입한 APC UPS 저는 2012년 구입한 APC UPS를 사용 중입니다. UPS를 우리말로 풀면 '무정전전원장치'로, 일시적인, 혹은 지속적인 정전시에도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입니다. 제가 사용 중인 UPS는 APC BE700-KR 모델로 8개의 콘센트가 달린 넙대대한 모양의 제품입니다. 얼핏 보면 커다란 멀티탭처럼 생겼지만, 내부에 납축전지가 내장되어 충전 상태를 유지하며 전원을 공끕하다가 정전, 혹은 전압 불안정 등의 상황이 되면 재빨리 충전된 납축전지로 전원이 교체 공급합니다. 정전시 전원 공급 시간은 UPS의 용량, 그리고 UPS에 연결한 장비의 전력소비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APC BE700-KR은 400와트 모델로 노트북, 외장 하드 2대, 인터넷 공유기, NAS ..
오래된 레이저 프린터, 토너 부족 경고등 저희 집의 레이저 프린터는 후지제록스 DocuPrint 203A라는 제품입니다. 2005~2006년 쯤 작은 쇼핑몰을 운영하면서 송장 인쇄용으로 구매한 제품이었고, 3~4년간 주문서와 송장을 열심히 찍어댔던 프린터입니다. 쇼핑몰을 운영했던 3~4년 동안에만 열심히 사용했을 뿐, 이후에는 2~3달에 십여장 이하로 간간히 전원을 켜서 사용하는 정도였습니다. 그나마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노즐이 막혀버리는 잉크젯 프린터와 달리 레이저 프린터는 거의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오래 두어도 기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터라 요즘도 주민등록등본 등을 인쇄할 때 가끔 사용하곤 합니다. 그렇게 가끔 사용하던 DocuPrint 203A(이하 DP-203A)에 토너 부족 경고등이 떴고,..
찌릿찌릿한 전기가 느껴지는 노트북 얼마전 친한 후배의 사무실에 들러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후배의 사무실은 처가집 근처에 있어 마눌님과 처가집에 갈 때마다 한 번씩 들르곤 하는데, 얘기 도중 노트북에 문제가 있다며 좀 봐달라고 하더군요. 후배의 노트북은 도시바 Qosmio X75 모델, 국내에서는 출시되지 않았던 몇 년전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노트북 구입 당시 제품 사양이 어떤지 물어보기에 17.3인치 액정이 달린 크고 무거운 게이밍 노트북이지만 데스크탑 대용으로 쓰기에는 가성비가 꽤 괜찮은 제품으로 보인다고 조언해 준 적이 있었습니다. 해외에서 구입해 사용했던 노트북이라 깔려 있던 영문판 윈도우 대신 한글 윈도우를 설치해 주었는데, 문제가 생겼다니 윈도우 재설치를 부탁하려는 것인가? 싶었습니다...
Copyright 컴터맨의 컴퓨터 이야기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