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탑으로 사용 중인 노트북
저는 데스크탑 대신 노트북을 사용한지 꽤 오래되었고, 현재 사용중인 씽크패드 P50은 어댑터가 연결된 도킹스테이션에 연결해 거치식으로 사용 중입니다.
물론 외부에 나갈 때는 대부분 노트북을 함께 가지고 나가는데, 도킹스테이션에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 모니터 케이블, 외장 하드 등은 그대로 놔둔 채 노트북만 쏙 뽑아 나왔다가 다시 돌아오면 노트북만 도킹스테이션에 올려두면 다시 데스크탑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씽크패드의 도킹스테이션에는 전원 어댑터까지 별도로 포함되어 있으니, 전원 어댑터를 뽑을 필요도 없이 실내외에서 꽤 편리하게 사용 중입니다.
2016/12/14 - 레노버 씽크패드P50 도킹스테이션 사용기. 다양한 입출력 포트, 편리한 탈착 방식
100% 완전 충전되지 않는 노트북?
얼마 전 지인이 제 노트북과 도킹스테이션을 이리저리 보면서 꽤 편해보인다는 얘길 하더니, 잠시 후 배터리 게이지가 이상하다고 하더군요.
도킹스테이션에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고, 노트북에서도 분명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인데 배터리 충전량이 91%에서 전혀 올라가질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지인의 말대로 제 노트북은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였고, 배터리 충전량이 91%에서 더 올라가지 않는 것 역시 맞는 말이었습니다.
다만 이것은 제가 노트북을 거의 대부분(95%이상) 어댑터를 연결한 상태로 사용하는 패턴 때문에 배터리 잔량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는 충전되지 않도록, 또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되지 않도록 설정해 두었기 때문입니다.
리튬 배터리(리튬 이온, 리튬 폴리머)의 경우 100% 충전된 상태가 계속 유지될 경우 배터리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배터리의 충전 시작 기준과 충전 완료 기준을 임의로 설정해 두었습니다.
노트북 제조사에 따라 이런 옵션을 여는 방법은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제 씽크패드 노트북의 경우 Lenovo ThikVantage Tools를 실행하고
[전원제어] 항목을 연 뒤
[배터리] 탭을 클릭하고 [배터리 유지보수] 버튼을 누르면 배터리 충전모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값은 96% 이하에서 충전 시작, 100%에서 충전을 중지하는 [항상 완전 충전]이지만 저는 배터리 잔량이 50% 미만일 때 충전을 시작, 70%에서 충전을 멈추도록 설정해 두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특히 100% 충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 역시 좋지 않다고 합니다.
때문에 저처럼 노트북에 어댑터를 연결해 사용하는 시간이 많다면, 배터리 충전 설정 옵션이 있는지 확인해 50~70%만 충전되도록 설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4년에 구입했던 삼성 아티브북9 플러스에는 이런 배터리 충전 설정 옵션이 없어 늘 100% 완충 상태를 유지했고, 노트북을 충전기에서 잠깐 분리해 배터리가 단 몇 %만 소모되어도 다시 완전 충전을 반복하다보니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 사용 시간이 많이 짧아졌음을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이후 사용 중인 씽크패드 P50은 배터리 충전 방식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데, 일부 노트북은 이런 옵션이 바이오스에 들어 있기도 합니다.
델노트북 바이오스의 배터리 충전 옵션
간혹 이러한 배터리 충전 옵션을, 배터리가 완전 충전되지 않는 고장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으니, 노트북 제조사의 배터리 관련 항목이나 바이오스 항목을 살펴볼 것을 권합니다.
리튬 배터리(리튬 이온/폴리머)의 오래 쓰는 방법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배터리 시절부터 현재의 리튬 배터리까지, 충전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는 사용 방법에 대해 참 왈가왈부가 많았습니다.
특히 리튬 이온배터리는 메모리 효과가 없으며, 과충전/과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가 있으니 사용자가 따로 신경 쓸 필요 없다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리튬 배터리는
- 완전 방전과 완전 충전(0%로 사용 후 100% 충전) 반복을 피하고,
- 45~55%에서 다시 충전해 사용하는 것이 좋고
- 완전 충전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배터리 수명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한 마디로 45~55% 정도 남았을 때 다시 충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더 자세한 내용은 it월드의 무선충전/완전충전에 관한 기사를 읽어보세요.
사실 리튬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는(줄이는) 사용 패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많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위 사용 패턴을 신뢰하는 편입니다.
여기에 한 가지 덧붙이자면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하는 것,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충전하면서 배터리 소모가 많은 게임을 하는 등의 사용 패턴 역시 배터리 수명에 좋지 않으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2018/04/09 - 나이트코어 SC4 충전기 사용기. 다양한 배터리 지원하는 충전기 끝판왕 Nitecore SC4
- 2017/04/01 - 3년차 자작 LED 랜턴 배터리 점검과 수리, 6V 4A 배터리 완충 전압 확인과 연결 방법
- 2014/07/13 - powercfg로 노트북 배터리 상태 확인하는 방법. 노트북 배터리의 남은 수명은?
- 2014/07/16 - HP 배터리 테스트로 노트북 배터리 보정 결과. HP System Diagnostics의 대단한 반전
- 2013/03/11 - 에르고라피도 충전 청소기 배터리 자가 교체. 어렵지만 보람있는 작업
'컴퓨터 활용, 최적화 > 노트북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형 노트북을 크롬북으로 사용해 보니. 크롬 OS 설치 과정 및 소감 (12) | 2019.01.06 |
---|---|
윈도우10의 스피드스텝과 터보부스트 설정 방법. 노트북 CPU 속도 설정하기 (4) | 2019.01.05 |
윈도우7 노트북을 블루투스 스피커로 쓰는 방법. 블루투스 드라이버 검색 및 설치 요령 (15) | 2016.11.21 |
노트북 스피커를 블루투스 스피커로 사용하는 방법. 노트북/스마트폰 블루투스 연결법 (6) | 2016.11.19 |
레노버 노트북의 복구 파티션 USB 메모리에 옮기는 방법. 공장 출하 복구 이미지 저장 (4) | 2016.10.17 |
- 컴퓨터 활용, 최적화/노트북 활용
- 2018. 5. 19. 23:11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 질문 댓글은 공개글로 달아주세요. 특별한 이유없는 비밀 댓글에는 답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