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Menu
하드웨어 리뷰/HDD,SSD,USB 저장장치 :: 56
기본 설치된 헤놀로지, 디스크 그룹 설정 헤놀로지의 기본 설치가 완료되고, 웹브라우저를 띄워 헤놀로지에 접속해 보면 깔끔한 바탕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운영체제의 설치만 완료된 상태이며 하드디스크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라 별도의 작업을 통해 하드디스크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설정해야 합니다. 마치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 새 저장 장치를 추가한다고 하여 바로 탐색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제어판의 디스크 관리 항목을 열어 볼륨을 추가하고 포맷을 해야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 사실 이러한 단계는 매우 기본 수준의 설정이긴 한데, 저 역시 헤놀로지를 처음 설치해 보는 것이고, 디스크 볼륨을 설정하는 과정이 윈도우의 그것보다 한 두단계 더 거쳐야 하기에 간단히(?) 살..
헤놀로지 다운로드 및 기본 설치 디스크 초기화 작업을 진행하다가 아예 맛이 가버린 와이즈기가 NAS에 헤놀로지 설치를 해봤습니다. 헤놀로지는 시놀로지의 NAS 운영체제인 DSM을 일반 PC나 NAS 장비에 설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파일입니다. 그간 구형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컴퓨터에 헤놀로지를 설치해 NAS 장비로 사용할 수 있다는, 헤놀로지의 명성(?)은 익히 들어왔지만 자료 백업 등의 번거로움 때문에 이제야 설치해보게 되었습니다. 헤놀로지는 헤놀로지 배포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설치 과정은 생각보다 간단했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헤놀로지 설치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헤놀로지 설치를 위해 헤놀로지 포럼을 자세히 살피다 보니, 헤놀로지는 무료로 공개 배포되고 있지만, 시놀로지의 운영체제 파일을 그..
오래된 NAS의 디스크 초기화 제가 사용 중인 NAS 장비인 와이즈기가 UB-2300은 2012년 구입당시 WD 캐비어 블랙 1테라 하드디스크 2대를 포함하여 130~40만원이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당시 비슷한 사양의 시놀로지 제품이 절반 정도의 가격이었음에도 굳이 와이즈기가 UB-2300을 구입했던 것은 국산 제품이라 좀 더 확실한 지원을 받을 것이라 기대했기 때문입니다. 개인 용도로 구매하는 제품이라면 분명 더 저렴한 제품을 선택했겠지만, 회사 업무용으로 구매하는 제품이다보니 사후지원이 더 확실한 제품을 선택하는게 맞다고 생각했던 것이죠. 뭐랄까, IPTIME의 공유기가 외산 공유기에 비해 성능/기능은 좀 떨어지더라도 펌웨어 업데이트 속도만큼은 따라올 수 없을 정도로 지원이 확실한 제품이기에 와이즈..
오랫만에 구입한 하드디스크 얼마 전, 씨게이트 6테라바이트 외장 하드디스크를 구입했습니다. 저는 데스크탑, 노트북, 1테라 외장 하드, NAS 등 여러 종류의 저장 장치를 사용 중이지만 1테라 남짓한 하드디스크 여러 대에 흩어져 있다보니 여기저기 찾기 복잡했고, 최근 노트북의 백업 이미지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문제가 생겨 겸사겸사 대용량 외장하드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2018/02/05 - 윈도우 시스템 이미지 복구 과정 중 드라이브 명, 드라이브 번호 변경 문제와 진행 과정 제가 구입한 제품은 씨게이트 백업 플러스 허브(Backup Plus Hub)라는 긴 이름을 가진 제품입니다. 사실 필요한 용량은 4테라면 충분했지만, 4테라나 8테라 제품보다 6테라 제품의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
와이파이 끄고 사용 중인 FlashAir 와이파이 메모리 와이파이 파일 전송 기능이 없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와이파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2년 전 도시바 FlashAir 라는 와이파이 메모리를 구입했습니다. 제품 광고 이미지를 보니 기대했던 것 보다 사용 방법이 쉽지 않겠다 생각했지만, 그래도 간간히 스마트폰으로 사진 파일을 직접 전송하는데 쓰면 괜찮겠다 싶어서 구입했습니다. 하지만 FlashAir 메모리 구입 후 며칠 간 와이파이 전송 기능을 사용해 본 뒤 와이파이 기능을 아예 꺼버렸고, 일반 SD 메모리로 사용중입니다.2015/02/28 - 도시바 FlashAir Wifi SD 메모리 사용기. 아이디어에 못미치는 전송 속도와 조작방식와이파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Sandisk Extreme Pro 메..
씽크패드 P50의 주문형 SSD, SM951 얼마전 구입한 씽크패드 P50 노트북은 크고 묵직하지만 성능면에서 만족스럽게 사용중입니다. 특히 씽크패드 P50은 DP(디스플레이 포트) 단자를 통해 4K 해상도, 60Hz 모드를 완벽하게 지원하여 4K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려는 제게 썩 괜찮은 선택이었습니다. 2016/10/10 - HDMI 2.0 단자 = 4K UHD 출력 완벽 지원? YCbCr420과 YCbCr444의 색번짐 비교 씽크패드 P50 커스텀 모델 주문시 1만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인 도킹스테이션 역시 무척 만족스럽게 사용 중인데, 이 도킹스테이션에 대한 간단한 리뷰는 곧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씽크패드 P50 바닥 커버를 열면 2개의 M.2 SSD 슬롯과 1개의 ..
6년차 노트북 하드디스크, SSD로 교체 저희 집 거실의 TV 장 한 켠을 차지하고 있는 HP 노트북, DV3-2307TX는 2010년 초에 구입했으니 올해로 5년을 지나 6년째 접어들고 있습니다. 아티브북9 플러스를 구매하기전인 2014년 1월까지는 메인 노트북으로 꽤 유용하게 사용했지만 새 노트북을 구입한 뒤로는 찬밥 신세가 되었고 가끔 인터넷 결제나 쇼핑몰 접속과 같이 액티브X를 깔아야하는 사이트 접속용으로 사용 중입니다. 사실 코어 i3 2Ghz CPU에 메모리가 4GB인 노트북이니 웹서핑이나 영화 감상용으로 사용하면 괜찮겠다 싶은데 더 빠른 노트북을 사용하다보니 그냥 액티브X 전용(쓰레기 분리수거용) 노트북으로 사용하고 있네요. 그나마 허약한 배터리라도 있으면 헐값 중고로 팔아볼까 싶기도 한데,..
삼성 M.2 SSD를 플렉스터 M.2 SSD로 바꾼 후, 온도차? 며칠 전 아티브북9 플러스에 장착되어 있던 삼성 128GB M.2 SSD를 플렉스터 M6G-2280 256GB M.2 SSD로 바꾸었습니다. 삼성 노트북에 내장되어 있던 삼성 M.2 SSD(모델명 MZ-NTE1280)를 플렉스터 M6G-2280 256GB로 바꾼 뒤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통해 플렉스터 M.2 SSD의 쓰기 속도가 2배 이상 빨라졌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제가 사용중인 아티브북9 플러스는 메인 메모리가 확장 불가능한 4GB, SSD에 스왑 파일(가상 메모리)이 늘 만들어져 있는 상태라, 쓰기 속도가 더 빠른 SSD로 바꾸길 잘했다 싶은 생각입니다. 2015/10/10 - 플렉스터 M6G-2280 m.2 SSD 사용 후기. 쓰기..
아티브북9 플러스, 2년만에 SSD 업그레이드 지난해 1월에 구매하여 사용중인 아티브북9 플러스, NT930X3G-K64는 대체로, 80% 남짓 만족하며 사용중입니다. 아티브북9 플러스 구입시 핵심 고려 대상은 휴대하기 편한 가볍고 슬림한 디자인, 고해상도 액정의 두 가지 였습니다. 일단 가볍고 휴대가 편한 디자인 덕에 사무실이든 캠핑장이든 꺼내는데 주저함이 없으며 어댑터를 찾지 않아도 되는 긴 배터리 사용시간, 문서 작업과 간단한 포토샵 작업에 충분한(과분한) 속도에 만족합니다. 아티브북9 플러스 구입시 주요 조건 중 하나였던 3200*1800 해상도(QHD+)의 13.3인치 액정은, 100% 사이즈로 보기에는 눈의 피로감이 심해 2048*1152 픽셀로 설정하여 사용중이며 텍스트 위주의 제 작업 성격..
추억의 주변기기 업체, 플렉스터 제가 기억하는 플렉스터는 CD롬의 속도 경쟁이 한창이던 1990년대 초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배속~4배속 CD롬 드라이브와 같이 극초창기 제품들은 사운드 카드에 연결하는 AT-BUS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고, 4배속~8배속 이후에는 IDE(E-IDE)방식의 CD롬 드라이브들이 주류를 이루었죠. AT-BUS 방식에서 E-IDE 방식의 CD롬 드라이브들로 흐름이 바뀌어가는 중에도 SCSI 방식의 CD롬 드라이브들은 '고급형' 시장을 형성하고 있었고 플렉스터는 SCSI 방식의 CD롬 드라이브를 내놓는 회사 중 하나였습니다. 그렇게 ODD 시장에서 고급 기기로 자리잡았던 SCSI 방식은 CD롬 드라이브가 레코더로, DVD롬 드라이브와 레코더로 바뀌는 과정에서 시장에서 점점 ..
Sandisk Extreme Pro 메모리카드, 두 번째 A/S 2013년 10월, RAW 모드의 사진을 원활하게 찍고 컴퓨터로 빨리 옮기기에 적당한, 고속의 메모리카드를 찾다가 구입한 Sandisk Extreme Pro 메모리카드는 속도 하나는 정말 만족스러운 제품입니다. 메모리카드에 적힌 초당 최대 95MB의 읽기/쓰기 속도까지는 아니더라도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초당 80MB 정도는 뽑아주니 RAW 모드로 찍은 사진 파일을 옮길 때 속도에 대한 불편없이 정말 만족하면서 사용중입니다. 2013/10/03 - SanDisk Extreme Pro SD메모리, USB 3.0 메모리 리더 사용기 다만 이렇게 만족하며 사용중인 Sandisk Extreme Pro 메모리카드에도 약점이 있으니, 바로 제품의..
업무용 PC 장착용으로 구입한 SSD와 SSHD 며칠 전 지인의 부탁으로 구입한 조립 PC용 부품들로 컴퓨터 본체를 맞추었습니다. 지인의 사무실에서 캐드 작업과 문서 작업을 위해 사용 할 컴퓨터의 조립을 부탁 받아 인텔 i7 하스웰 4790 CPU와 기가바이트 GTX970 그래픽카드에 16기가바이트의 메모리 등 꽤 고사양으로 구성했습니다. 저장 장치는 인텔 520 SSD 120GB와 시게이트의 1테라 SSHD 1000DX001 등으로 구성했는데, 특히 SSD와 SSHD의 성능이 궁금해지더군요. 특히 하드디스크에 8GB 플래시 메모리를 달아 놓은 시게이트 SSHD의 성능이 SSD에 비해 어느정도인지 간단한 테스트로 확인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대략적으로 비교해 보는 정도이며 세밀하거나 체계적인 비교와는..
디지털 카메라에 무선 전송 기능이 필요할 때 캠핑이나 여행을 가면 저는 저대로 펜탁스 K-01 미러리스를 이용해 사진을 찍고 마눌님은 마눌님대로 스마트폰으로, 각각 사진을 찍곤 합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수가 늘어 어지간히 사진이 잘 나온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펜탁스 K-01로 찍은 찍은 사진의 색감이 더 좋게 보일 때가 많습니다. 꼭 사진의 색감이나 화질을 떠나, 각자 사진을 찍는 시선이 다르다보니 기대하지 않았던 사진을 상대방의 카메라에서 건질 때도 있습니다. 어쨌든 캠핑이나 여행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차에서 마눌님은 제 카메라에 담겨 있는 사진들을 한 장씩 넘겨보다가 마음에 드는 사진을 발견하면 카메라의 액정에 대고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곤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찍은 사진들은 대개 집에 도착..
블랙박스용으로 추가 구입한 Lexar MicroSDHC 32GB 메모리 카드 블랙박스의 동영상 저장 공간을 넉넉하게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16GB SDHC 메모리 대신 32GB 메모리를 구입하여 사용한지 4개월 남짓 되어갑니다. 동영상을 메모리카드 용량이 꽉 찰때까지 저장하고 더 이상 저장 공간이 없으면 먼저 저장한 동영상을 지우고 다시 덮어 쓰게 되는 블랙박스의 특성상 TLC 메모리 카드는 수 개월 정도 사용하게 되면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구형 블랙박스에 사용했던 SD 메모리가 2년이 채 되지 않아 인식 불능 상태가 된 경험을 했던 터라 새로 구입하는 메모리는 보다 수명이 긴 MLC 방식의 메모리를 선택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메모리 카드 유통사, 혹은 제품에 블랙박스 등의 장치에서 ..
Copyright 컴터맨의 컴퓨터 이야기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