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 홍미노트2, 하나씩 설정하는 재미
샤오미 홍미노트2를 구입한지 2주 남짓 지났고 기존에 사용하던 갤럭시S3로 부터의 이동 역시 거의 완료가 되었습니다.
이동이 거의 완료되었다니, 스마트폰 하나 바꾸는데 무슨 2주씩 걸리나 싶을텐데요, 저는 기존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던 앱과 데이터를 옮기고 기존 스마트폰 환경 처럼 꾸미는데 꽤 꼼지락 거리며 공을 들이는(?) 편입니다.
특히 샤오미 홍미노트2의 경우 자체 한글을 지원하지 않다보니 공장 초기화를 시키고 한글롬을 설치하기까지도 나름 시간이 걸리는군요.
이미 홍미노트2의 공장초기화 방법에 대해서는 포스팅을 올렸는데, 곧 홍미노트2에 한글롬을 올리는 과정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5/11/12 - 샤오미 홍미노트2 공장초기화 방법. 샤오미 스마트폰의 공장초기화가 필요한 이유는?
홍미노트2에 한글롬을 설치 완료 후 설정 단계
홍미노트2의 APN 설정 방법
개인적으로는 홍미노트2를 2주 남짓 사용하면서 무척 만족하고 있습니다.
20만원이 채 안되는 가격에 빠릿빠릿하게 동작하며 Full-HD 해상도의 5.5인치 패블릿, 게다가 막판에 4~5시간이면 방전되어 버리던 갤럭시S3에 비해 이래저래 써도 하루 반 정도는 거뜬한 힘좋은 배터리 역시 만족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업체의 스마트폰이라면 기본 지원되는 기능이 홍미노트2에서는 지원되지 않거나, 번거로운 설정 과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먼저 홍미노트2는 APN을 수작업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APN이 무엇인지, 자세한 설명보다는 제가 겪은 상황을 얘기하는게 더 이해가 빠를 듯 싶네요.
제가 홍미노트2를 받은 직후, 갤럭시S3에 사용하던 USIM을 빼서 홍미노트2에 끼우고 두 번 부팅을 반복했더니 안테나 표시와 함께 4G(LTE) 마크도 떴고 전화통화도 바로 할 수 있었습니다.
홍미노트2는 처음에 APN 설정을 해야한다고 들었는데, 바로 통화가 되네? 싶었습니다.
하지만 브라우저를 열고 제 블로그 주소를 입력했는데, 블로그가 뜨지 않고 APN 설정을 해야한다는 안내 문구만 뜨더군요.
4G 로고와 안테나는 꽉 차있었는데도 말이죠.
그렇게 데이터 사용을 위해 홍미노트2의 APN 설정을 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홍미노트2의 [설정]-[SIM 카드 &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참고로, 위의 화면은 이미 한글롬 설정을 마친 상태라 한글 메뉴가 뜨지만, 실제는 [Settings]-[SIM cards & mobile netowrks]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렇게 메뉴로 들어가면 끼워져 있는 USIM의 정보가 표시되며, 첫 번째 USIM을 선택한 뒤 [Access Point Names]를 선택합니다.
APN은 Access Point Names의 약자
APN 메뉴로 들어오면 자동으로 잡혀 있는 APN 목록이 표시고 첫 번째 SK Telecom 을 선택하거나 하단의 [New APN]을 선택하여 새 APN 설정 메뉴를 띄웁니다.
저는 SK 텔레콤을 사용 중이라 SK Telecom이라고 되어 있으며 KT 사용자는 [KT]라고 표시됩니다.
ANP 편집 화면에서 밑줄친 항목들을 입력하면 됩니다.
참고로 저는 자동으로 잡힌 APN 설정에서 MMSC 항목과 MMS 프록시 항목의 설정만 바꿔 주었습니다.
밑줄 친 항목의 값만 수정
APN |
lte.sktelecom.com |
MMSC | http://omms.nate.com:9082/oma_mms |
MMS Proxy | lteoma.nate.com |
MMS Port |
9093 |
MMS Protocol |
WAP2.0 |
MCC | 450 |
MNC | 05 |
여러가지 항목 중 위의 표에 나와 있는 항목들만 터치한 후 내용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되며 모든 설정이 끝난 뒤에는 하단의 [More] 버튼을 터치한 뒤 [저장] 하며 빠져 나온 뒤 재부팅하면 데이터 접속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위의 설정은 SK 텔레콤 LTE 가입자의 경우이며 SK 텔레콤 3G, KT LTE, KT 3G 가입자는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APN |
web.sktelecom.com |
MMSC | http://omms.nate.com:9082/oma_mms |
MMS Proxy | smart.nate.com |
MMS Port |
9093 |
MCC | 450 |
MNC | 05 |
APN |
lte.ktfwing.com |
MMSC | http://mmsc.ktfwing.com:9082 |
MMS Port |
9093 |
MCC | 450 |
MNC | 08 |
APN |
alwayson-r6.ktfwing.com |
MMSC | http://mmsc.ktfwing.com:9082 |
MMS Port |
9093 |
MCC | 450 |
MNC | 08 |
아울러, LTE 사용자라면 SIM card settings 페이지에서 [Preferred network type] 항목을 살펴 Prefer LTE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선호하는 통신망 설정
전화통화시 3G로 바뀌는 홍미노트2
홍미노트2의 LTE APN 설정을 마치고 나니 데이터 이용 역시 원활하게 작동하더군요.
홍미노트2는 LTE 주파수 특성상 SK 텔레콤 보다 KT에서 더 원활하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제가 거주하는 지역에서는 SK 텔레콤으로도 LTE 데이터가 잘 작동하여 이렇다할 불편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4G LTE 잘 떠 있던 기호가 전화 통화를 할 때면 늘 3G 모드로 바뀌어 버립니다.
전화를 걸때, 신호가 들어올 때 3G로 바뀌고 통화가 끝나면 다시 4G로 돌아가는 증상인데요, LTE 서비스 초기에 겪었던 증상 그대로입니다.
3G 모드로 바뀐 탓인지 음성 통화시 음질도 기존 갤럭시S3에 비해 답답한 느낌이 듭니다.
뭐가 문제인지 검색을 해봤더니 홍미노트2는 국내에서 VoLTE (LTE 기반 음성통화)가 지원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홍미노트2 기기 자체의 사양은 VoLTE를 지원하지만 국내 환경에 맞춰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지원하지 않아 그렇다고 하더군요.
SK 텔레콤 홈페이지의 HD 보이스 안내
LTE 기반의 HD 보이스는 대역폭이 넓고 음성 코덱의 데이터 전송률 역시 높습니다.
한마디로 더 맑고 자연스러운 소리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인데, 홍미노트2는 LTE를 지원하지만 국내에서 VoLTE를 사용할 수 없기에 3G 음성 통화로 바뀌는 것입니다.
홍미노트2의 3G HD 보이스 설정 방법
그나마 홍미노트2도 3G 기반의 HD 보이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사 대리점, 혹은 고객센터를 직접 방문해 전산에 입력된 '단말기 모델'을 수정해야 합니다.
저는 대리점을 방문하기 전, '단말기 모델'이 무엇인지 미리 확인해봤습니다.
SK 텔레콤의 '단말기 모델'은 TWORLD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가입정보 조회/관리]에서 [사용중인 회선 정보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가 사용중인 회선정보를 조회했더니 단말기 모델이 [OMD DEFAULT 핸드셋] 이라고 입력되어 있었습니다.
이 단말기 모델명이 [OMD DEFAULT 핸드셋_3G HD 보이스]로 바뀌면 3G HD 보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저는 집근처 통신사 대리점을 방문하여 처리 받았으며, '외산 단말기의 3G HD 보이스 설정을 해달라'고 했더니 알아서 처리해 주었습니다.
이후 TWORLD 홈페이지에서 조회해보니 [OMD DEFAULT 핸드셋_3G HD VOICE]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산 등록으로 바꾼 단말기 모델명
참고로 KT 이용자라면 PTA-TYPE3HD(LTE 요금제 사용자), PTA-TYPE1HD(3G 요금제 사용자)으로 바꾸면 됩니다.
간혹 대리점에 따라 이러한 설정을 모르는 경우도 많은데, 잘 모르는 대리점 직원과 씨름하지 말고 다른 대리점을 찾던가 아예 고객센터로 향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설정을 바꾸고 나니 전화 통화를 할 때 3G로 바뀌던 것이 H+(HSPA+, 말하자면 3G+ 정도)로 바뀌었습니다.
참고로 HD 보이스는 전화를 거는쪽과 받는 쪽 모두 HD 보이스 설정이 켜진 상태라야하는데, SK 텔레콤 사용자라면 통화연결음을 통해 HD 보이스 연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화연결음이 화음으로 들리면 HD 보이스로 연결된 것이며, 예전의 단음이라면 둘 중 한 쪽이 HD 보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것입니다.
2015년 8월 이전에 출시된 국산 단말기의 경우 HD 보이스 설정이 꺼진 경우가 많으니 통화 설정 메뉴에서 HD 보이스 설정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사용자의 손길이 필요한 홍미노트2
앞서 설정했던 APN 설정은 국내 통신사 로고를 달고 나온 스마트폰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간혹 SKT 단말기를 KT에서 사용한다거나, 반대의 경우와 같이 통신사와 단말기가 다른 경우에만 수작업으로 하는 정도인데, 외산 단말기인 홍미노트2는 무조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두 번째 살펴봤던 HD 보이스 설정 역시, 국내 스마트폰들은 스마트폰의 설정에 들어가 쉽게 켜고 끌 수 있지만 홍미노트2는 대리점이나 고객 센터를 방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국내 스마트폰은 간단히 바꿀 수 있는 HD 보이스 설정
한 마디로 국내 통신사 로고를 달고 나온 스마트폰에서는 할 필요가 없는 설정을 홍미노트2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해주어야 하는데, 저처럼 기계의 설정 항목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설정 값을 바꿔보길 즐기는 사람이라면 홍미노트2가 참 재미있는 스마트폰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에서 늘 쓰는 기능 외에는 전혀 건드리지 않는다거나, 이번 포스팅에 적은 내용들이 도무지 뭔지 모르겠다면 통신사 로고를 달고 나온 스마트폰을 쓸 것을 권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어머니와 장모님, 마눌님의 스마트폰을 국내 업체의 제품으로 바꾸길 참 잘했다는 생각을 하는 요즈음입니다ㅎㅎ
'모바일 > 스마트폰 활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오미 홍미노트2 한글화 방법. 단계별로 살펴보는 홍미노트2 한글롬 설치 과정 (10) | 2015.11.22 |
---|---|
샤오미 홍미노트2 홈화면에 폴더 만드는 방법. MIUI의 직관적인 폴더 생성 방법 (10) | 2015.11.19 |
샤오미 홍미노트2 공장초기화 방법. 샤오미 스마트폰의 공장초기화가 필요한 이유는? (25) | 2015.11.12 |
스마트폰에 강화유리필름 붙이는 방법. 일반필름과 좀 다른 강화유리필름의 특성 (6) | 2015.11.07 |
어머니의 두 번째 스마트폰, LG G Flex 구입 후기와 어머니를 위한 스마트폰 초기 설정 (6) | 2015.10.17 |
- 모바일/스마트폰 활용팁
- 2015. 11. 18. 23:59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 질문 댓글은 공개글로 달아주세요. 특별한 이유없는 비밀 댓글에는 답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