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스마트폰에 카카오톡 옮기기
샤오미 Mi5S를 새로 구입한 후 기존에 사용하던 홍미노트2의 데이터와 앱을 옮기는 작업을 거의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백업과 복원의 거의 마지막 단계에서 홍미노트2에서 사용하던 카카오톡 데이터를 옮겼습니다.
2년 전, 갤럭시S3에서 홍미노트2로 바꿀 때는 갤럭시S3에 저장되어 있던 카카오톡 데이터를 직접 복사한 뒤 복원하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시시콜콜한 대화내용과 이미지 등 기존 카카오톡을 그대로 옮길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을 PC에 연결해 데이터 파일을 복사하고 카카오톡 구버전 APK(설치파일)을 구해서 설치한 후 업데이트하는 과정이 꽤 번거로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당시는 카카오톡이 백업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때라 스마트폰을 바꾸면 기존 대화내용이 모두 사라졌기에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했던 작업인데, 언제부터인가 카카오톡 자체에 대화 백업/복원 기능이 내장되어 사용해 봤습니다.
이 포스팅은 2017년에 작성한 것으로, 그동안 카톡 대화 백업 메뉴 위치 및 미디어 보존 기간 등이 달라졌습니다.
카카오톡 대화 백업/복원을 위해 이 포스팅을 찾은 분들은
2020/03/20 - 카카오톡 대화 백업/복원 방법. 새 스마트폰에 카카오톡 채팅방과 대화 옮기기
포스팅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쓰던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백업하기
카카오톡의 대화 백업은 사용하던 스마트폰에서 백업을 실행하고 새 스마트폰에 카카오톡을 설치한 뒤 백업한 대화 내용을 복구하는 과정으로 나뉩니다.
백업은 클라우드를 통해 진행되므로 스마트폰을 컴퓨터에 연결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은 필요없지만 통신이 가능한 상태라야 합니다.
먼저 기존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을 실행한 뒤 ...(더보기) 버튼 - [설정]을 선택한 뒤 [개인/보안] 항목을 선택합니다.
[개인/보안] 항목에서 [기기, 전화번호 변경안내]를 선택한 뒤 [대화 내용 백업하기] 버튼을 선택합니다.
아직 백업을 하지 않은 상태라 [대화 백업] 메뉴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가장 위쪽의 [대화 백업하기] 항목을 선택한 뒤, 백업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백업을 시작합니다.
여기서 입력한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면 대화내용을 복원할 수 없으니 비밀번호를 잘 기억해 둡니다.
이후 데이터 추출, 클라우드 업로드는 자동으로 진행되며, 잠시 후 대화 백업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백업 완료까지 2~3분 남짓 걸렸는데, 1년 6개월 남짓 초기화 없이 사용했던 스마트폰이라 그런지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더군요.
백업이 완료된 후 [대화 백업] 메뉴로 들어와 보면 백업 상태가 표시되며, 클라우드에 업로드된 백업 파일의 보존 기한은 2주로, 그 안에 복원해야 합니다.
새 스마트폰에 카카오톡 대화내용 복원하기
사용하던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대화내용을 백업한 뒤, 새 스마트폰으로 USIM을 옮겨 개통했고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카카오톡을 새로 설치했습니다.
카카오톡 설치 과정에서 전화/저장소/주소록 접근 권한을 허용해 달라는 안내문이 뜹니다.
[허용하기] 버튼을 누르고 이어 화면에 표시되는 권한 허용 화면에서 [허용] 버튼을 순서대로 터치합니다.
카카오톡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누르면 SMS 메시지 전송 및 보기를 허용할 것인지 묻는 대화상자가 뜹니다.
인증 번호를 문자로 받기 위해 [허용] 버튼을 터치합니다.
인증 번호를 받을 전화번호를 확인 후 인증 문자가 도착했습니다.
저는 기존 스마트폰의 USIM을 빼서 새 스마트폰으로 옮긴 상태라 기존 스마트폰의 카카오톡이 탈퇴되지 않았다는 안내 메시지가 떴는데, 새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을 쓰기 위해 [확인]을 눌렀습니다.
새 스마트폰에 기존 전화번호로 카카오톡 등록이 완료되었고, 카카오톡 초기 설정화면에서 클라우드에 백업 데이터가 있다는 안내 메시지가 뜹니다.
[복원하기] 버튼을 터치해 대화 내용을 복원합니다.
앞서 카카오톡 대화를 백업할 때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터치하면, 잠시 후 대화 복원이 완료되었다는 안내 메시지가 뜹니다.
카카오톡 대화 백업에 저장되는 항목은 친구 목록, 대화 내용(텍스트), 그리고 참가중인 단톡방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3주 이내에 주고 받았던 사진들은 일단 대화방에 정상 표시되며 3주가 지난 사진은 빈 화면으로만 표시됩니다.
단, 대화 내용 복원 후 제대로 표시되는 사진들 역시 서버에만 남아 있고 스마트폰에는 저장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3주의 날짜가 지남에 따라 저장 기간이 만료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사진이 보이지 않게 되니 필요한 사진은 각자 스마트폰에 저장해 두어야 합니다.
'모바일 > 스마트폰 활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브라우저의 검색엔진 바꾸는 법. 브라우저 주소창의 기본 검색엔진 변경 방법 (4) | 2017.06.27 |
---|---|
스마트폰 앱의 모바일 데이터 사용 제한 방법. 더 편리한 샤오미 식 데이터 사용 설정법 (2) | 2017.06.18 |
새 스마트폰에 공인인증서 복사하는 방법. 사용하던 스마트폰 인증서 간단히 복사하기 (2) | 2017.06.05 |
마이크로USIM을 나노USIM으로 자르는 방법. 깔끔하게 NanoSIM 자르는 요령 (2) | 2017.06.04 |
홍미노트2에서 후후 설정하는 방법. 잘 사용하던 후후의 오작동 원인과 해결 방법 (4) | 2017.03.29 |
- 모바일/스마트폰 활용팁
- 2017. 6. 6. 22:08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 질문 댓글은 공개글로 달아주세요. 특별한 이유없는 비밀 댓글에는 답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