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Menu
하드웨어 리뷰 :: 312
일본산 에네루프 대신 구입한 벡셀 충전지 저는 꽤 오래전부터 에네루프나 에네루프 프로 충전지를 즐겨 사용해 왔으며, 에네루프와 같은 업체에서 만든 후지쯔 충전지 역시 만족스럽게 사용해 왔습니다. 그리고 지난 9월에 카메라 플래시에 넣어 사용할 니켈수소 충전지가 추가로 필요하게 되었는데, 에네루프나 후지쯔 등의 일본산 충전지를 구입하는게 내키질 않았습니다. 그동안 일본산 식품만 매우 적극적으로 피해왔지만, 지난 여름 이후에는 공산품 구입에서도 일본산 제품을 피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가벼운 광각 렌즈를 찾다가 소니 24mm GM 렌즈나 바티스 25mm 렌즈에 눈독을 들였지만, 결국 삼양 24mm 렌즈를 구입했던 것 역시 이미 구입해 쓰고 있는 것, 혹은 대체품이 없는 경우라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일..
이미 퇴출된 광학 드라이브 CD/DVD롬 드라이브, CD/DVD 레코더와 같은 광학 드라이브는 이미 대중들에게 잊혀진 지 오래됐습니다. 90년대 초중반부터 보급되기 시작했고, 90년대 후반에 치열한 속도 경쟁을 통해 PC마다 한 대씩 기본 장착되는 기기가 되었다가 사양길로 접어들었고 이제 컴퓨터에 광학 드라이브가 달려 나오는 경우는 거의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저는 국내에 CD롬 드라이브가 처음 보급될 93년 경, 파나소닉 CR-523이라는 1배속 CD롬 드라이브를 20만원 남짓한 가격 (93년 당시 20만원이면...ㅠㅠ)에 사 들고와서 소중히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어쨌든 저 역시 수 년째 광학 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은지 오래되었고, 어쩌다 광학드라이브가 필요할 때면 노트북에 달려 있는 녀석을 사용하..
윈도우10 PC와 넷플릭스 저는 몇 달 전부터 넷플릭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유플러스 TV 셋톱박스에 넷플릭스 앱이 설치되었고, 이를 통해 한 달 무료 체험을 해보니 나름 재미가 있더군요. 다만 넷플릭스 요금이 좀 부담스러워 한 달 무료 체험 후 해지했었는데, 지인들이 넷플릭스 그룹을 만들어 함께 쓰고 있어 저도 끼어들었습니다. 넷플릭스 프리미엄 요금제의 경우 4명이 동시 접속 가능하여 4명 단위로 그룹을 만들어 요금의 1/4만 내면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넷플릭스에서는 이런 식의 사용에 딱히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개별 프로필 생성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보면 은근히 이런 사용을 권장하는 느낌도 있습니다. 어쨌든 저는 몇 달간 넷플릭스를 이용 중인데, 주로 유플러스 셋톱박스를..
5.25인치 베이용 USB 허브 USB 방식의 외장하드와 USB 메모리 등 탈착이 잦은 USB 장치 사용이 많다보니 본체 뒷면의 USB 포트보다는 손이 닿기 편한 전면 USB 포트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얼마 전 새로 조립한 데스크톱PC의 케이스 앞쪽에는 4개의 USB 포트가 달려 있었지만 구형 케이스라 USB 2.0 방식이었고, 덕분에 오리코 클립 USB 3.0 허브를 구입해 편하게 사용 중입니다.2019/09/25 - 오리코 4포트 클립 USB 허브, MH4PU 사용후기. 깔끔한 4포트 무전원 USB 허브 하지만 4개의 USB 3.0 포트는 아무래도 부족했고, 컴퓨터 케이스의 앞쪽의 5.25인치 베이에 장착할 수 있는 USB 허브를 구입, 장착했습니다. 다만 제가 사용하는 '구형' HTPC 케이스는 5..
작고 가벼운 삼양 24mm 렌즈 약 1년 전 구입한 소니 A7M3를 구매하면서 가장 비중을 두었던 항목은 동영상 촬영 성능과 무게였습니다. 기존에 사용했던 펜탁스 K-01 미러리스의 동영상 촬영 기능은 오토포커스를 지원하지 않았고, 펜탁스 렌즈들이 동영상 촬영시 렌즈 소음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진터라, 여러모로 동영상 촬영과는 맞지 않는 카메라였습니다. 아울러 펜탁스 K-01의 조악한 그립감과 더불어 렌즈와 플래시를 더했을 때의 무게도 불편했습니다. 특히 제 촬영 환경은 한 손으로 카메라를 들고 찍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1.5kg 남짓한 무게를 한 손으로 지탱하며 촬영하는 상황이 정말 불편했습니다. 다행히 소니 A7M3는 펜탁스 K-01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대부분의 단점들을 커버할만큼 좋은 카메..
UEFI/BIOS 듀얼 USB의 부팅 불가 증상 며칠 전, 윈도우10 PE USB를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윈도우PE USB를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설정해야할 옵션이 많아 처음에는 많이 복잡하게 느껴졌지만, 두 어번의 실패(?)를 통해 옵션 화면에 익숙해지니 그나마 좀 쓸만하다 싶었습니다. 다만 윈도우PE USB를 만들고 난 직후 살짝 당황스러운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구형 노트북에서는 아무 문제없이 잘 부팅되던 윈도우PE USB였지만, 시험삼아 레노버 씽크패드P50 노트북에 꽂았더니 USB를 부팅 드라이브로 인식하지 못해 윈도우PE 부팅을 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윈도우PE USB 제작 포스팅의 끝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는 PE 이미지를 USB 메모리에 구울 때 [MBR 파티션 형식의 BIOS 또는..
키보드 채터링 해결을 위한 점검 순서 제가 사용 중인 기계식 키보드, 필코 마제스터치 컨버터블2에서 몇 달 전부터 글자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채터링(chattering) 증상이 불규칙하게 발생,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들을 순차적으로 취하고 있는 중입니다. 기계식 키보드의 채터링 증상은 키보드 스위치의 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가장 먼저 키보드의 청소를 진행하는게 순서입니다. 저는 키보드를 3개월에서 6개월에 한 번 키캡을 모두 뽑고 내부에 끼어 있는 이물질들을 청소하는데, 6개월만에 열어본 키보드 안쪽에는 저희 집 고양이털과 먼지가 수북하게 쌓여 있었습니다. 사실 키캡을 뽑고 청소하는 것 외에도 키보드 기판쪽으로도 흘러들어간 이물질들을 청소해야 하는데, 뒷판을 열고 하는 작업이다보니 ..
보증만료 1주일 전, 씽크패드 노트북 마지막 A/S 제 블로그를 통해 몇 번인가 레노버 노트북의 A/S 실태, 그 중에서도 지방 서비스센터를 이용하면서 겪었던 레노버 노트북의 A/S 품질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그렇게 레노버 노트북의 서비스를 몇 번 받으면서 하나를 고치고 나면 다른데 문제가 생기는 식의 문제도 겪으며 골아픈 경험도 했지만 외주를 통해 진행되는 서비스 기사들의 고충도 조금 알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저는 익일 출장 서비스 옵션을 함께 구매한터라, A/S를 신청하면 기사가 직접 집으로 방문해 제품을 고쳐주는 방식입니다. 당연히 외주 기사분은 출장 건별로 보수를 받는데, 서비스를 받은지 한 달 이내에 다시 서비스를 신청할 경우, 다른 문제로 인한 경우라도 출장비가 나오지 않는다고 합..
ASROCK X570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AMD 라이젠7 3700X 시스템을 조립해 사용한지 약 2주 정도 지나는 동안, AMD의 AGESA 코드 1.0.0.3 ABBA의 업데이트 소식이 들렸습니다. 해외 벤치마크 사이트에 따르면 라이젠7 3700X CPU의 부스트 클럭이 한계치까지 올라가도록 향상되었다고 하는데, AGESA 1.0.0.3 ABBA 소식이 나온지 며칠 지나지 않아 제 ASROCK 메인보드의 바이오스 업데이트 파일이 올라왔습니다. 바이오스 파일 업로드 소식을 듣고 ASROCK 웹사이트에 접속해보니, 제 메인보드인 ASROCK X570 팬텀 게이밍4는 바이오스 버전이 1.7까지 올라와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메인보드류의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신중한터라, 바이오스 1.7이 업로드된 것을..
4년차 기계식 키보드, 이상 증상 2015년에 구입한 필코 마제스터치 컨버터블2는 중간에 두어벌의 키캡을 바꿔가며 잘 사용 중입니다. 키를 두드릴 때마다 울리는 찰캉찰캉한 청축 특유의 키감을 좋아하는데다 세벌식 특유의 리듬감있는 타이핑을 하다보면 마치 악기를 다루는 것 같은 즐거움을 주곤 합니다. 아울러 기계식 키보드로서는 드물게 USB 유선 연결과 블루투스 연결을 동시에 지원하는 유무선 키보드라 여러 대의 컴퓨터를 편리하게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2015/04/29 - 필코 마제스터치 컨버터블2 키보드 사용기. 기계식 키보드와 블루투스의 편리함 다만 최근들어 전에 없던 증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데, 바로 의도치 않은 키 입력이 연속으로 되는 증상입니다 평소와 다름 없는 속도로 키 입력..
데스크톱 PC의 USB 포트 얼마 전 조립해 사용 중인 데스크톱 PC는 노트북에 비해 속도가 월등하지만 차지하는 공간 역시 노트북에 비해 월등했습니다. 특히 제가 사용하는 데스크톱 PC의 케이스가 위아래로 길쭉한 타워형이 아니라 옆으로 넙적한 형태이다보니 책상 아래 바닥에 내려 놓고 사용하기도 불편하고 책상 위에 놓고 쓰기에도 자리를 너무 많이 차지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게다가 저는 여전히 노트북도 책상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해야 하고, 두 대의 외장 하드디스크도 사용해야 하는터라 여러모로 책상 위 공간이 애매한 상황입니다. 그러던 중 몇 년전 캠핑용으로 구입했던 3단 테이블이 생각나 책상위로 올렸고 꼭대기에 노트북, 중간에 데스크톱 PC, 아래쪽에 외장하드 및 카메라 용품 등을 올려 놓고 사용 중입니..
노트북으로는 감당안되는, 4K 동영상 편집 얼마 전 라이젠7 3700X CPU를 비롯한 컴퓨터 부품을 구입해 PC를 한 대 조립했습니다. 10여년 남짓 노트북만 사용하다가 갑자기 데스크톱 PC를 조립해 사용하게 된 것은, 순전히 동영상 편집 작업 때문입니다. PC 게임을 하지 않는 저는 노트북만으로 거의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었기에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휴대가 간편한 노트북이 제격이었습니다. 하지만 유튜브 채널 활성화를 위해 베가스를 이용한 동영상 편집이 잦아지게 되었고, 특히 4K 해상도로 찍은 동영상을 편집하려다보니 노트북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3년 전 구입한 레노버 씽크패드 P50 노트북은 인텔 i7 6820HQ 쿼드코어 8스레드 CPU에 쿼드로M1000M 그래픽 칩셋을 내..
UHS-II, 고속 메모리 카드용 메모리 리더 저는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UHS-II 128GB 메모리와 익스트림 프로 UHS-I 16GB, 두 가지 SD 메모리를 주로 사용합니다. 소니 A7M3의 듀얼 슬롯 중 UHS-II를 지원하는 1번 슬롯에 익스트림 프로 UHS-II를 넣어 대부분의 사진과 영상을 촬영하며 2번 슬롯의 익스트림 프로 UHS-I은 비상시, 백업 메모리 용도로 사용 중입니다.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한 뒤에는 대부분 익스트림 프로 UHS-II 메모리를 꺼내 노트북의 메모리 슬롯에 넣고 사진과 영상을 컴퓨터로 옮기곤 합니다. 레노버 씽크패드 P50 노트북의 메모리 슬롯은, 내장 슬롯임에도 불구하고 UHS-II 규격을 지원하여 읽기 속도가 초당 220MB, 대용량 파일도 매우 빠르고 편하게..
충전기 없는 소니 A7M3 약 한 달 전쯤, 그러니까 7월초에 나이트코어 USN4 Pro 충전기를 하나 구입했습니다. 예전에 니켈수소 충전지와 18650 리튬이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나이트코어 SC4 충전기를 구입해 매우 만족스럽게 사용 중인터라, 나이트코어 USN4 Pro 충전기 역시 딱히 망설임 없이 구입했습니다.2018/04/09 - 나이트코어 SC4 충전기 사용기. 다양한 배터리 지원하는 충전기 끝판왕 Nitecore SC4 나이트코어 USN4 Pro는 소니 NP-FZ100 배터리 2개를 동시에 꽂아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입니다.소니 NP-FZ100 배터리는, 소니 A7M3 카메라의 배터리입니다. 지난해 9월 구입해 사용 중인 소니 A7M3는 저한테는 여러모로 과분한 성능의 카메라로, 구입한 ..
Copyright 컴터맨의 컴퓨터 이야기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