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Menu
컴퓨터 활용, 최적화/윈도우 인터넷 팁 :: 270
서울시 버스전용차로 위반 단속 여부 조회하는 방법 얼마전 김포공항을 다녀오다가 본의 아니게 버스전용차로를 지나간 적이 있습니다. 김포공항에서 시내로 들어가는 방향이었는데 밤 늦은 시간인데다 네비게이션에 의지해 가다보니 도로 중앙의 버스 정류장 쪽 차선으로 잘못 진입하게 되었네요.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일단 버스전용차로를 위반한 상황, 단속 여부가 궁금하여 며칠 뒤 서울시 버스전용차로 단속 여부를 확인할 방법을 알아보니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교통위반 신고 및 단속 조회 사이트, Cartax가 있더군요. Cartax 사이트에서는 버스전용차로위반 단속 여부 외에도 주정차위반, 과태료정보 조회 등 다양한 종류의 단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일단 저는 버스전용차로 단속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단의 "버스..
시작프로그램을 관리하는 msconfig 윈도우 계열의 운영체제는 운영체제의 시작과 함께 자동으로 실행되는, 시작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을 비롯, 응용 프로그램 들을 설치할 때, 설치 프로그램이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하여 사용자가 따로 실행하지 않아도 윈도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불려지게 됩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프로그램이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되면 윈도우가 뜨기까지 부팅시간이 길어지고 메모리를 잡아먹는 등 전체적인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저는 필요한 프로그램만 따로 설정하곤 합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에는 윈도우가 구동될 때 사용하는 다양한 옵션을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는 msconfig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msconfig을 이용하면 운영체제의 구동 및 작동과 관련된 여러 옵션을 설..
즐겨쓰는 클라우드 서비스, N드라이브 네이버 N드라이브는 꽤 오래전부터 무척 유용하게 사용하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잘 알려진바와 같이 N드라이브는 자주 쓰는 파일 등을 웹의 저장 공간에 올려두었다가 필요한 경우 브라우저를 띄워 바로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죠. 다음에서는 다음 클라우드라는 이름으로, 구글은 드롭박스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성격의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가장 먼저 사용하기 시작한 네이버 N드라이브를 제일 많이 쓰게 되는군요. 구글 드롭박스는 인터페이스가 훌륭하다는 얘기를 듣고 꽤 오래전 시험삼아 몇 번 파일을 업로드, 다운로드 해봤는데 속도가 너무 느려 사용을 포기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스마트폰 사진을 PC로 옮기는데 N드라이브를 특히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멀티 메모리카드 리더, 메모리 종류는 점점 늘어난다 멀티 메모리카드 리더의 '멀티'는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를 쓸 수 있다는 뜻입니다. 가장 흔히 쓰는 SD 메모리카드와 Micro SD 메모리는 물론, CF(컴팩트 플래시), MS(메모리 스틱), XD 카드 등 모양부터 제각각인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를 쓸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슬롯이 달려 있죠. 요즘 출시되는 멀티 메모리카드 리더는 대개 다섯 개 정도의, 각기 다른 메모리 슬롯이 달려 있습니다. 다섯 가지 메모리카드를 읽을 수 있어 멀티일까요? 같은 모양의 메모리카드라도 시간이 지나며 성능을 개선한, 새 버전으로 발표되곤 합니다. 예를 들어 SD 메모리카드는 용량을 높여 SDHC로, 다시 SDXC 메모리 등 여러가지 변종(?) 메모리가 나오는 식으로, ..
TeamViewer, 말로 하는 설명보다 눈으로 보는게 빠르다! 가끔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로 부터 컴퓨터에 이상이 있다는 전화를 받곤 합니다. 전화를 하는 입장에서는 컴퓨터의 이상 증상을 이래저래 자세히 설명하곤 하지만 전화로 그 얘기를 듣고 증상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상대방의 컴퓨터를 직접 보는게 아니라 상대방 컴퓨터의 화면을 상상해가며 조언을 해주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죠. 눈으로 보고 하면 몇 분만에 금새 끝낼 수 있는 작업이 말로 상황을 듣고 말로 처방을 하다보면 한 시간은 훌쩍 흘러갑니다. 그래서 요즘은 컴퓨터에 이상이 있다는 전화가 걸려오면 길게 말하지 않고 파일을 하나 보내고 원격으로 접속해 살펴볼테니 일단 보내는 파일을 받고 다시 통화하자고 합니다. 그 파일이란 바로 원격접속..
구글 크롬을 쓰면 ID와 비밀번호가 노출된다? 얼마전 해외 IT 블로그를 통해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 저장된 ID와 비밀번호 노출 문제가 화제로 떠올랐고, 해당 뉴스는 국내 뉴스 매체나 블로그를 통해 전파되었습니다. Google leaves your Chrome passwords unprotected to promote security 해당 기사의 주요 내용은 구글 크롬 사용자가 입력한 ID와 비밀번호는 암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채 저장되어 구글 크롬 주소창에 'chrome://settings/passwords'라고 입력하면 사이트별 ID와 비밀번호가 훤히 노출된다는 것이었습니다. 해당 기사를 접한 네티즌들은 '이게 말이 되나' '구글 크롬 어이없다' '밖에서 크롬 쓰면 안되겠다'며 구글 크롬에 대한 비판..
보호나라(KISA) 백신 - 3.20 전산대란 검사/치료용 3.20 전산대란을 일으켰던 악성코드가 심겨져 있는지 검사/치료할 수 있는 한국인터넷 진흥원(KISA) 보호나라에서 배포중인 감염PC 맞춤형 전용백신입니다. 이번 3.20 전산대란을 일으켰던 악성코드를 비롯, 기존 이슈를 일으켰던 악성 코드 152가지를 검색, 치료할 수 있는 통합 버전입니다. 이 백신은 컴퓨터에 파일이 설치되지 않고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여 실행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악성 코드를 검색, 치료할 수 있습니다. 보호나라 맞춤형 전용 백신 다운로드 아울러 보호나라에서는 3.20 악성코드만 검사할 수 있는 Trojan.Win32.KillMBR.E 치료용 전용백신 및 개별 악성 코드에 대응하는 전용 백신들을 따로 배포하고 있으니 참고하세..
닫아버린 브라우저의 탭, 다시 열 수 있다!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하는 단축키 관련 포스팅에서 브라우저의 탭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먼저, 웹 브라우저에 여러 개의 탭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CTRL+TAB 키를 누르면 왼쪽 -> 오른쪽의 탭이 전환되며, CTRL+SHIFT+TAB 키를 누르면 오른쪽 -> 왼쪽의 역순으로 탭 전환이 된다는 팁이 있었습니다. 2013/01/21 - SHIFT 키의 편리한 역주행 기능, 알고 계십니까? 또, 포털의 뉴스 페이지에서 마우스의 휠 버튼을 이용하면 링크를 새 창으로, 혹은 현재 창으로 띄우지 않고 새 탭으로 열린다거나, 열려 있는 탭을 닫을 때 탭의 X 버튼을 누르는 대신 휠 버튼으로 탭을 클릭하면 닫을 수 있다는 내용도 다룬 적이 있습니다. 2012..
인터넷 업체에서 걸려온 해피(?)콜 얼마 전, 제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받아보니 이전 요청하신 인터넷 서비스 잘 받았느냐는 A 인터넷 업체의 해피콜이었습니다. A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데다 이전 요청이라니, 잠깐 생각해보니 지난 2월 말, 누님 댁이 이사를 하면서 A 인터넷 서비스와 언쟁을 높였던 그건인 것 같네요. 무려 한달이 다되어가는 시점에서 받은 해피콜이라니, 그 때의 황당한 경험이 다시 한번 생각났습니다. 이사 1주일 전,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어 인터넷 이전 신청을 하다 누님이나 매형 모두 컴퓨터를 잘 모르는 터라 컴퓨터에 관련된 사항들은 제가 봐주곤 하는데요, 이사할 때도 컴퓨터 관련 기기들을 옮기기 위해 이사 당일 잠깐 다녀오기로 한 상태였습니다. 특히 인터넷을 옮기는 일에 신경써..
GodMode라니, 이름부터 멋진데?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윈도우 제어판의 목록에 상당한 불편을 느끼고 있습니다. 범주별로 나뉜 분류를 찾아들어가야 하는 형태는, 꽤 오랫동안 써도 적응이 잘 안되는 느낌입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 설정을 제어판을 통해서 건드리려면, 일단 제어판을 열고나서 '마우스 관련 설정이 어디 숨어 있나?' 잠시 뜸을 들여 생각을 하고, '하드웨어 및 소리' 항목을 찾아 들어가게 되죠. 필요한 항목을 찾으려면 몇 단계를 거쳐야할 뿐 아니라 뜸들여 찾아야하는게 은근히 불편합니다. 윈도우 XP 부터 시작된 범주별 제어판 사실 이러한 범주별 제어판은 윈도우 2000, XP부터 시작됐습니다. 그 전 버전인 윈도우 98까지는 각 기능별로 분류된 제어판이었지만, 윈도우 XP부터 ..
심심하면 뜨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8 설정 화면, 어떻게 좀 안될까? 저는 요즘 인터넷 익스플로러 8, 구글 크롬, 파이어 폭스의 3가지를 브라우저를 5:4:1 정도로 쓰고 있습니다. 원래 인터넷 익스플로러 8을 주로 사용했지만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니 화면 호환성 문제를 체크하기 위해 크롬이나 파이어 폭스를 깔아쓰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기능이 특별히 뛰어나서 사용한 것은 아닙니다. 윈도우를 설치하면 의례 사용하게 되는 브라우저인데다, 액티브X에 종속된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는 어쩔 수 없이 쓰게 되는 브라우저인데요, 크롬과 파이어 폭스도 쓰다보니 속도나 기능면에서 좋은 점이 눈에 띄어 꾸준히 사용하게 되는군요. 인터넷 익스플로러 9를 깔았다 지운 후 생긴 문제 얼마전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
팝업 차단 기능이 귀찮다면? 일시 정지 시켜보자! 웹 서핑 중 별도의 창을 띄우는 팝업창. 보고 있는 창과는 별개로 사용자의 주의를 끄는 유용한 노출 수단이었지만 무분별한 팝업창이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주면서 웹브라우저들은 팝업 차단 기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브라우저에 팝업 차단 기능 덕분에 사용자들은 팝업의 공해에서 해방될 수 있었지만, 동시에 필요한 팝업을 이용할 때는 몇 번의 단계를 거쳐야하는 불편을 겪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익스플로러 8을 이용해 다음뷰에 올라온 포스팅을 읽다가 블로거의 글을 구독하기 위해 [구독+] 버튼을 누르면, [My View에 추가되었습니다] 라는 반응대신 브라우저 상단에 [팝업이 차단되었습니다. 팝업 또는 추가 옵션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라는 안내..
악성코드로 차단당한 TTB 유저는 급한데, 정작 알라딘은 느긋했다 지난 토요일부터 월요일까지, 알라딘 TTB를 올려둔 수많은 블로그에는 한바탕 소동이 있었습니다. 크롬, 파이어 폭스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할 경우 붉은 색으로 악성코드 경고가 뜨면서 블로그 접속을 차단하는 문제였는데요, 저는 일요일에야 이런 문제가 있음을 알았고 원인이 알라딘 TTB 위젯때문임을 확인한 후 문제가 되는 알라딘 TTB 위젯을 제 블로그에서 내렸습니다. 그리고, 문제가 되는 위젯을 블로그에서 제거했음을 구글에 통보했는데, 접속 차단 조치가 풀린 것은 하루가 지난 월요일 오전이었습니다. 2012/11/26 - 크롬 브라우저가 내 블로그를 악성코드로 차단! 대처 방법은? 알라딘 TTB로 인한 문제, 블로거 스스로 처리 소동이 벌어지..
내 블로그에 악성코드가 있다고? 추워진 날씨와 함께 꽤 한산해진 제 블로그의 방명록에 이웃 블로거인 즈라더 님이 글을 하나 남겼습니다. 제 블로그가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으니 확인해보라는 내용이었는데요, 외부에서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확인한 후, 뭐가 문제인가 싶어 노트북의 크롬 브라우저로 제 블로그에 접속해보니 악성코드 경고 메시지와 함께 사이트를 차단하는 것이었습니다. 나름 보안에 꽤 신경을 써왔다고 자부하는데다 속도 문제로 인해 이런저런 위젯들도 빼오던 상황에서 갑자기 악성코드라니, 이해가 잘 안되는 상황이었는데요, 일단 구글 크롬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니 가볍게 여길 수 없었습니다. 크롬으로 접속하려는 사람들을 뻘건 악성코드 경고 화면과 함께 차단시키니, 검색 엔진 등을 통해 처음 접속하는 사람들은..
Copyright 컴터맨의 컴퓨터 이야기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B FACTORY